컨텐츠 바로가기
CLOSE

식물원 산책

타래붓꽃

  • 작성일 2025-10-30 14:19:26.0
  • 조회수 46

[주제정원 솔비나무 화단] 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자생지역 : 국 동북부, 북부, 몽골, 러시아 일부, 인도, 히말라야 주변까지 분포 범위가 넓은 편이다.



번식방법 : 보통 군식된 뿌리를 나누어 번식하는게 간단하고 효과적이다

                종자로 파종할 경우 1cm 가량 얕게 파종하며, 당해년도 채종 후 저온처리(또는 겨울을 보낸 뒤) 후

                또는 인위적인 온도 변화(20 ℃→-5?)를 통해 발아를 유도시킬 수 있다.

 

 

재배특성 : zhang yeu et al.(2023)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타래붓꽃은 수분 스트레스 내성이 강해 사막 초원, 염분이

               많은 땅, 황무지 등에서도 잘 자라며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강해 황폐화된 땅을 복원하는데 많이 사용된

               식물이다. 햇빛이 적당히 들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 식재하며, 사면이나 암석원, 도로변 주변에 활용하기

               좋다.

 

 

기타 : 생태정원, 자연주의 정원의 소재로 활용하기 적합하며, 정원 내 군식으로 식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잎이 선형으로 퍼지고 꽃이 올라오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중간층에 넣으면 리듬감을 줄 수 있다.

          붓꽃과 비슷하지만 잎이 비틀려서 꼬이기 때문에 타래붓꽃이라고 한다

 

 

출처 : (논문) zhang, y., zhang, r., song, z., fu, w., yun, l., gao, j., ... & wu, j. (2023). iris lactea var. chinensis plant drought tolerance depends on the response of proline metabolism, tranx-scription factors, transporters and the ros-scavenging system.bmc plant biology,23(1), 17. i (온라인) 국립수목원 국가표준식물목록’, 영국왕립식물원 kew(the royal botanic gardens), 영국왕립원예학회 rhs(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서울식물원은 apg(angiosperm phylogeny group) 분류체계 기준을 따르고 있어 해당 출처의 과명 표기가 일부 상이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이 지정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