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정원 숲정원] 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 자생지역 : 우리나라 자생식물이다. 동아시아(한국, 일본, 대만, 중국 중부, 남부, 동남부),
동남아시아(베트남,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 필리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자바),
남아시아(인도), 기타(하이난섬) 등에 분포한다.
○ 번식방법 : 기본적으로 콩과식물은 종자 파종 시 발아율이 높은편이다. 다만, 여우팥의 종자는 콩과 특유의
경실종으로 종피가 두꺼워 약간의 상처를 내어 파종하는 것이 좋다. 그냥 뿌리면 발아 소요일까지
6개월~1년 정도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물리적인 처리가 필요하다. 휴면 타파의 가장 쉬운 방법으로
60~80℃ 정도의 뜨거운 물에 10분정도 담근 후 찬물에 담가 뿌리거나, 사포 같은 거친 소재로 종자의
겉을 살짝 벗겨내주면 된다.
○ 재배특성 : 콩과 식물은 덩굴성이면서 잘 퍼지기 때문에 잡초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관리가 필요하다.
다만, 자연발아율이 낮아 정원 소재로 활용하기엔 적합하다. 정원의 지표면을 덮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바위, 오벨리스크 등을 활용하여 덩굴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 물고임이 없는 낮은 평지, 들판에
배수성 좋은 토양을 사용하여 심어 주면 된다.
○ 기타 : 잎사귀의 모양이 여우 머리처럼 삼각형이라서 여우팥이라고 한다. 속명 dunbaria 는 식물 육종 전문가이면서
정원사였던 영국 에든버러 대학의 희랍어 교수 george dunbar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며 소명 villosa 는 길고
거친 털을 뜻하는 라틴어이다.
※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표준식물목록’, 영국왕립식물원 kew(the royal botanic gardens), 영국왕립원예학회 rhs(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서울식물원은 apg(angiosperm phylogeny group) 분류체계 기준을 따르고 있어 해당 출처의 과명 표기가 일부 상이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이 지정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