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CLOSE

시설안내

식물을 키우면서 궁금했던 점들,
잠깐 들러서 물어봐주세요!
정원상담소
서울식물원에서 답해드립니다:)

식물·병해충 관리 등 기술상담,
실내외 정원 설계 조성·관리 컨설팅,
가정원예, 반려식물 컨설팅 등
맞춤형 상담소를 운영 중입니다.

Q85. 허브식물 재배법 알아보기

  • 작성일 2024.01.29
  • 조회수 299
GARDENING TIME 식물공부 4(2)호 허브식물 A herb
서울식물원 정원지원실 검색, https://botanicpark.seoul.go.kr
(QR코드 URL 주소: https://botanicpark.seoul.go.kr/front/plants/plantsIntroView.do?plt_sn=138&page=1)개박하 꿀풀과 여러해살이풀
유럽, 남서 및 중앙아시아를 원산으로 하는 허브로, 고양잇과 동물들이 좋아하기로 유명한 ‘캐트닙’이 바로 개박하랍니다. 별다른 양분 관리 없이도 무성히 잘 자라는 쉬운 식물이에요. 국내에서는 월동이 어려워 따뜻한 실내에서 키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개박하는 주로 종자를 통해 번식하며, 10월에 채종한 종자를 바로 뿌리거나 이듬해 봄에 뿌려주세요.촬영장소: 서울식물원 주제정원 치유의 정원
(QR코드 URL 주소: https://botanicpark.seoul.go.kr/front/plants/plantsIntroView.do?plt_sn=266&page=1)라벤더 꿀풀과 상록 관목
라벤더는 남부 유럽 지중해 원산의 식물로 오밀조밀하게 맺힌 꽃과 달콤한 향기가 매력적인 식물이에요. 고온 다습한 환경에 약해 장마철에는 특히 통풍이 잘 되도록 신경써야 해요. 비료는 많이 요구하지 않으며, 가지치기는 장마철이 오기 전에 해주세요. 휴면기인 12-2월 사이 줄기의 길이가 가지런해지도록 잘라주면 꽃이삭이 균일하게 나와 핀답니다.촬영장소: 서울식물원 주제정원 허브원
(QR코드 URl 주소 : https://botanicpark.seoul.go.kr/front/plants/plantsIntroView.do?plt_sn=267&page=1)로즈마리 꿀풀과 상록 관목
세이지, 타임과 함께 ‘3대 허브’로 꼽히는 로즈마리는 고기의 잡내를 잡아주거나 디저트, 음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해요. 지중해 연안과 아프리카, 서남아시아 등지를 원산으로 하며 줄기가 너무 우거졌을 때는 통기를 위해 가지치기를 해주세요. 이때, 자른 가지를 물에 꽂아두면 뿌리가 나서 또 심을 수 있답니다.
촬영장소: 서울식물원 전시온실 지중해관
바질 ‘플로랄 스파이어스’ 꿀풀과 여러해살이풀
피자와 파스타 등 이국적인 요리하면 빠질 수 없는 바질. 열대 아시아 원산의 식물로 햇빛을 매우 좋아하는 특징이 있어요. 바질을 건강하게 키우려면 순지르기를 해주어야 하는데요, 식물이 생산하는 에너지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하나의 가지에 집중할 수 있도록 곁가지를 잘라주는 과정이에요. 바질이 세 마디 이상 자랐으면, 키우려는 가지를 제외하고 제거해주세요.
촬영장소: 서울식물원 전시온실 지중해관
(QR코드 URL 주소: https://botanicpark.seoul.go.kr/front/plants/plantsIntroView.do?plt_sn=419&page=1)변산향유 꿀풀과 여러해살이풀
한반도의 특산식물로, 전라북도 변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이름과 학명에 ‘변산’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어요. 한해살이풀로 취급하지만, 내한성이 있어 계속 꽃을 볼 수 있답니다. 종자를 파종하면 개화까지 4개월밖에 걸리지 않고, 물이나 비료 관리를 크게 필요로 하지 않아 키우기 쉬워요. 꽃과 잎에서 짙은 향기가 나고 벌이 많이 모이는 밀원식물이에요.
촬영장소: 서울식물원 호수원
(QR코드 URL 주소 : https://botanicpark.seoul.go.kr/front/plants/plantsIntroView.do?plt_sn=236&page=1)배초향 꿀풀과 여러해살이풀
한반도 전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 자생하는 식물로 향이 매우 강해 다른 향기를 배척한다고 하여 배초향이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국내에서는 ‘방아풀’, ‘깨나물’ 등으로 부르며 어린 순을 먹거나 육류요리나 추어탕의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답니다. 햇빛만 충분하다면 별다른 관리 없이도 무성히 자라는 쉬운 식물이에요.
촬영장소: 서울식물원 주제정원
	(QR코드 URl 주소 : https://botanicpark.seoul.go.kr/front/plants/plantsIntroView.do?plt_sn=432&page=1)참배암차즈기 꿀풀과 여러해살이풀
잠깐만요! 혹시 ‘뱀’ 좋아하시나요? 네, 동물 ‘뱀’이요. 꽃모양이 입을 벌린 뱀과 같이 생겨 ‘배암’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식물은 경상북도, 경기도, 강원도 등에 분포하는 한국의 특산 식물이에요. 건조하지도 과습하지도 않은 환경에서 적당한 비료를 주어가며 키워야 하므로 재배가 다소 까다롭지만 그 점이 오히려 승부욕을 자극하는, 꽃모양이 매력적인 식물이랍니다.
촬영장소: 서울식물원 주제정원 허브원
플렉트란서스 콜레우스 ‘바리에가타’ 꿀풀과 여러해살이풀
잎의 모양이 타오르는 불꽃처럼 생겼다고 하여 ‘캔들 플랜트’라고도 불리는 이 식물은 인도 남부를 원산으로 하며 상쾌한 향기를 내뿜어요. 잎에 하얀색 무늬가 있거나 연한 보랏빛을 띠는 등 독특한 모양이 예뻐 관상용으로 많이 키운답니다. 다육질의 잎을 가지고 있어 과습에 약하니 여름 장마철에는 특히 주의해주세요.
촬영장소: 서울식물원 전시온실 지중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