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시온실 지중해관 ] 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 자생지역 : 하와이무궁화의 원산지는 중국 혹은 동남아(베트남), 동인도로 여겨지고 있으나 명확하지는 않다.
주로 중국남부와 인도 동부 등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무궁화로 2-3m 정도의 높이로 자란다.
○ 번식방법 : 번식은 삽목과 접목으로 하며, 삽목은 10∼12㎝ 정도의 정단부 삽수를 미스트나 비닐 터널에서
밀폐삽을 한다. 적정한 온습도(상대습도 80% 이상, 지하부 20℃)의 조건에서 4∼5주 정도면 활착하게 된다.
○ 재배특성 : 생육적온은 16∼30℃이며, 대륜종은 고온 요구도가 높은 편이다. 야외에서 월동이 불가하며(최저 5℃ 이상)
빛을 좋아한다. 4치 분에 밭 흙, 부엽, 펄라이트(5:3:2)와 돈분 혹은 완효성 비료를 0.1% 정도 첨가하여 혼합한 토양을 넣고
활착된 묘를 1주 정식(모종을 밭에 내어 심는 것)하여 2∼3주 후에 순지르기를 1∼2회 한다.
20∼30℃에서 4∼5주 생육하면 개화가 시작되고, 20℃ 이하에서는 생육과 개화가 늦추어진다.
다비성 작물이므로, 비료는 300ppm의 질소와 칼륨을 물거름으로 만들어 관수 시 공급한다.
산도가 6.5 이상에서는 철분 결핍이 발생한다. 점박이응애, 온실가루이, 진딧물이 주요 병해충으로
생산기에 철저히 방제해야 한다. 발생 초기에 해당 병해충 적용 농약 중 저독성 농약을 살포하여 방제한다.
○ 유 사 종 : 빨간색, 분홍색, 주황색, 노란색, 흰색 등 다양한 색상의 원예 품종들이 개발되었다.
전시온실 지중해관에서 볼 수 있는 하와이무궁화 ‘엘 카피토리오 스포츠’와 꽃 색과 형태 등에서 구분된다.
○ 기 타 : 속명의 Hibiscus(히비스커스)는 이집트어로 신을 뜻하는 hibis와 ‘같다’는 의미를 지닌 isco의 합성어로,
신과 같은 꽃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rosa-sinensis는 ‘중국의 장미’라는 뜻이나, 실제 식물은 장미와는
관계가 없다. 북유럽에서 오랜 세월 인기를 누렸으며, 최근에는 미국과 캐나다 등지에서 분화용으로
개발되어 전 세계 가정에서 재배하고 있다. 흔히 부상화 또는 불상화라 불리는 식물로, 식용이 가능하여
샐러드에 넣어 먹거나 히비스커스 차로도 이용된다. 중국에서는 약용하거나 술을 담글 때 사용했다.
또한 자외선을 흡수하며 태양광 차단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Nevade et al., 2011).
말레이시아의 국화로, 말레이시아의 지폐에 하와이무궁화가 그려져 있다.
※ 출처 : 영국왕립원예학회 RHS(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도서) 농업기술길잡이 139(개정판) 관상화목류(Ⅰ), ‘(논문)Study on Anti-Solar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Flower of Hibiscus rosa-sinensis Linn(Nevade외, 2011)’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서울식물원은 APG(Angiosperm Phylogeny Group) 분류체계 기준을 따르고 있어 해당 출처의 과명 표기가 일부 상이할 수 있습니다.